말 말, 그것으로 인하여 죽은 이를 무덤에서 불러내고 산 자를 묻을 수 있다. -하이네- <승자의 언어> (롤프 미카엘 하안) - 자잘한 말재간 보다는 원활하게 소통하는 방법을 고민해야한다. - 무엇을 말했는지가 아니라 무엇을 이해시켰는지가 중요하다. <설득 - 당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기술> (플.. 다빈치 메모 2006.08.21
[스크랩] 146가지 상식의 오류사전(2) 81. &#985168;스쿼&#985169;는 인디언말로 여자다? &#985168;스쿼&#985169;(squaw:북아메리카 원주민 여자)는 인디언의 속어로 여성의 생식기를 가리킨다.그 래서 인디언들은 이 말을 들으면 모욕감을 느끼며 그것을 인종 차별주의 표현으로 여긴다. 이 때문에 미국 미네소타주에서는 여러 지역들.. 다빈치 메모 2006.05.20
[스크랩] 146가지 상식의 오류사전(1) 1. 고대 스키타이&#8228;페르시아인 풍습 머리가죽을 승리의 전리품으로 삼던 일은 이미 고대에도 있었다.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 도토스의 말에 따르면 옛날에 스키타이인들이 적의 머리가죽을 벗겼다고 한다. 그리고 몇몇 서부 시베리아 민족들과 고대 페르시아인들에게도 그런 풍습이 있었다.. 다빈치 메모 2006.05.20
마하트마 간디 마하트마 간디 &#43088;인간이 무너지고 사회가 파괴되는 7가지 요인&#43089; 1. 노동이 없는 부 2. 양심 없는 쾌락 3. 인격이 없는 지식 4. 윤리 없는 기업 5. 인간 존엄이 무시된 과학 6. 희생 없는 종교 7. 신념 없는 지도자 다빈치 메모 2006.05.13
克己復禮 克己復禮 공자의 제자 顔淵 “어짐(仁)이란무엇입니까?” 공자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는 것(克己復禮)이다.” 게으름과 탐욕의 유혹을 이겨내고 땅에 떨어진 예를 바로 세우면 천하가 어질게 된다는 얘기다. 다빈치 메모 2006.05.13
자대시 일개취자 중국 속담에 <자대시일개취자(自大是一個臭字)> 라는 것이 있다. 自大란 자기가 스스로를 대단히 훌륭한 사람이라고 착각하여 거드름을 피우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自와大를 합치면 臭, 곧 악취가 물씬거린다는 뜻. 다빈치 메모 2006.04.18
스탈린 달걀은 깨뜨리지 않으면 오믈렛을 만들 수 없다. -스탈린- 때로는 모험과 도전도 필요한 것. 접시를 깨도 좋고 달걀을 깨도 좋다. 깰 수 있는 당신에게 기회도 주어지는법. -로우만- 다빈치 메모 2006.04.18